Cute Running Puppy

Java 22

Java_22Day

# Calendar 객체 Calendar 객체 생성법 : static 메서드인 getInstance() 를 이용해서 얻어냅니다. 생성된 객체의 모든 정보는 기본적으 로 get(int field) 을 이용해서 얻어냅니다. 이 때 파라미터 정보로는 Calendar 클래스의 static field 를 이용합니 다. ex>Calendar.YEAR --> 연도 정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.. 위에것을 하자면 이달의 몇일인지 올해의 몇일인지 등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. 저렇게 코드를 짜면 순서대로 19 / 19 / 109 / 6 이 뜹니다. Calendar add 입니다. Calendar add(int field, int amount) --> 변경할 날짜 필드에 amount 값을 증감 시키는 메서드 다른 시간 값에도 ..

Java 2019.04.19

Java_21Day

# Iterator , set , ListIterator Iterator 는 순서, Index가 없는 집합 객체입니다. while을 이용해 엘리먼트에 접근합니다. 1 2 3 4 5 가 출력됩니다. Set Collection Set 타입의 컬렉션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, Index 가 없는 형태로 객체들을 관리 합니다. 위 목적으로 관리 하려 면 List 타입이 아닌 Set 타입의 객체로 관리하면 편합니다. 대표 클래스로는 HashSet 클래스가 있고 , 역시 Iterator 를 구 현 했기에 Iterator 타입 객체로 변환 가능합니다. 위는 중복 허용 여부를 확인합니다. 출력해보면 [1 , 1 , 2 , 3 , 4] 가 출력되는데 1이 두번 나오는 이유는 형태는 같지만 표현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..

Java 2019.04.16

Java_19Day

# ArrayList , Call By Value ArrayList 의 대표적인 예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. Capacity 가 10인 리스트를 생성합니다. 만약 엘리먼트(객체)가 10개 이상이되면 자동으로 두배씩 늘어납니다. 생성합니다. 다음으로 엘리먼트를 추가해 줍니다. Collection 의 하위 타입을 파라미터로 받는 생성자를 이용한 리스트 생성합니다. 이 때 String 의 subString() 과 같은 기능의 메서드를 이용해서 list1 의 부분셋 을 파라미터로 넘깁니다. 그 다음으로 print 메서드를 이용하여 list1 과 list2 의 엘리먼트 값을 출력해 줍니다. (내부적으론 toString() 이 묵시적으로 호출됨) [0, 1, 2, 3, 4, 5] [0, 2, 4..

Java 2019.04.12

Java_18Day

# 예외 예외 핸들링시 finally 예외를 처리 할 때 finally 구문에 대해서 설명 합니다. finally 구문은 try-catch 이후에 기술 합니다. 예외 발생 여부와는 상관없이 반드시 실행을 해야 하는 구문을 정의 합니다. finally 를 정의 하는 주 목적은 코드가 실행이 되어질때 특정 리소스, 파일, 네트워크, DB 등을 연결후 발생된 예외 일때 예외가 발생 하더라도 연결된 리소스는 해제를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 이때 finally 를 이용해서 목적을 달성 합니다. finally 내부에는 try-catch 가 다시 정의 되어질 수 있습니다. 만약 코드중 예외가 절대 발생하지 않는걸 보장 한다면 catch 없이 try-finally 만 정의 가능합니다. 1.파일 객체를 이용해서 파일에..

Java 2019.04.11

Java_17Day

# 예외 자바 예외(Exception) 처리(Handing) 1. 예외란 : 예외는 프로그램이 실행중에 예기치 못한 에러 상황을 통틀어 말합니다. 여기서 주목 해야 할 부분은 컴파일시가 아닌 실행시 입니다. 때문에 컴파일러는 예외가 발생할 지 여부를 알지 못하기에 컴파일 에러를 유발하지 않습니다. 단 , 알려진 예외인 경우는 제외함!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위처럼 예외가 발생하면 해당 예외가 발생된 곳에서 자신을 호출 한 쪽으로 발생된 예외 객체를 던집니다(throw). 이처럼 던져진 예외는 호출 구조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main() 까지 올라오게 되고 어느쪽에서건 핸들링을 하지 않을 경우 프로그램은 비정상적으로 종료됩니다. 이때 VM 은 발생된 예외를 tracing 할 수 있도록 stack 을 쫓아서 출..

Java 2019.04.09

Java_16Day

# 문제 , string builder string 메서드 마지막 문제입니다. 가상 ip를 입력하면 예를 들어 형태가 xxx.xxx.x.xx이면 저 빨간색을 ***형태로 바꾸는 문제입니다. String ss = "192.111.4.102";// 가상 IP // . 의 index 를 관리하는 배열 // i 는 루프벼수로 IP 문자열의 처음부터 끝까지 루프를 돌며 문자를 리턴 시키는 변수로 활용 된다. // j는 찾아낸 , 의 index 번호값을 지닐 변수로 활용된다. int idx3[] = new int[3]; for(int i = 0,j=0;i

Java 2019.04.08

Java_15Day

# String 객체 메서드 먼저 charAt 입니다. charAt는 지정된 index의 문자(char)를 리턴합니다. 모든 index는 0부터 시작! String str2 = "Hello Java!"; str2 를 이렇게 저장하고 char ch = str2.charAt(3); System.out.println(ch) charAt 를 이용하여 index 3번째 있는 값을 출력하면 l이 나옵니다.(index는 0부터 시작 주의) 다음은 codePointAt 인데요 해당 문자의 유니코드 값을 출력해 줍니다. int ucode = str2.codePointAt(3); 위에 있는 str2 에서 3번째에 있는 문자의 유니코드 값을 구하라는 명령이 됩니다. 출력하면 108이 나옵니다. toCharArray 입니다...

Java 2019.04.05

Java_14Day

# 접근 제어자 , String 클래스 자바에서는 접근제어자를 두고 이를 목적에 맞게 선언 및 사용 하고 있습니다. 접근제어자의 종류로는 4가지가 있는데, public > protected > default > private 과 같습니다. 각 접근 제어자는 접근 범위가 있는데, 위 처럼 public 이 가장 크고 private 이 가장 작습니다. 접근 제어자를 선언 하지 않으면 default 가 됩니다. 접근 제어자가 선언되는 항목은 자바의 모든 곳에 사용되어집니다.(class, constructor, field, method, interface 등..) 접근 제어자의 범위 및 특징 1. public : 가장 큰 범위의 접근 제어이고 다른 패키지에서도 접근 가능한 제어자 입니다. 2. protected ..

Java 2019.04.04

Java_13Day

# 인터페이스 , 패키지 인터페이스 필드의 목적입니다. 모든 필드는 기본적으로 상수화 처리됩니다. 따라서 상수 선언을 하던 안하던 무조건 상수입니다. 때문에 값을 초기화 해야 합니다. 인터페이스를 상속하는 클래스들이 가져야 할 또는 사용해야 할 공통의 필드를 선언 해주는게 목적입니다. 인터페이스의 모든 메서드 , 필드는 자동으로 public 접근 제어를 갖습니다. (컴파일시 넣어줌) 이렇게 public 접급제어를 갖습니다. 인터페이스를 만들때에는 클래스 파일 만드는 방식과 유사합니다. new => Interface 다음은 자바 패키지 입니다. 자바에서는 패키지라는 개념을 주고 클래스(소스파일)들을 관리합니다. 패키지 선언이 없을 경우엔 default package 로 자동 설정 되어서 소스가 있는 폴더에..

Java 2019.04.03